오라클에서는 자사 DBMS를 사용한 개발과 관리를 간소화시켜주는 무료 통합 개발 환경으로서 SQL Developer를 제공한다. 필자는 Oracle 11gR2 Express Edition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다. 오라클 버전에 따라 어떠한 옵션을 선택할 때 제한되거나 다르게 설정해야하는 것들이 있으니 "나는 왜 안되지?"라는 생각이 들면 설치된 버전, 환경에 따라 해결 방법을 찾아야한다.

 

 오라클 설치부터 진행하고 싶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조하길 바란다. (Oracle 11g Express Edition 설치하러 가기)

 

 

 

 1. SQL Developer 설치하기

 먼저 아래 링크롤 통해 오라클 홈페이지로 접속한다.

 https://www.oracle.com/database/technologies/appdev/sqldeveloper-landing.html

 

 

 

 위 링크로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SQL Developer 소개 글 아래에 [SQL Developer]를 선택한다.

 

 

 

 윈도우나 리눅스 등 다양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여기서 윈도우를 기준으로 현재 컴퓨터에 JDK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위에 것을, 설치되어 있다면 아래 것을 다운받기 바란다.

 

 

 

 다운로드받은 압축 파일을 해제하면 다음과 같은 파일이 나온다. 여기서 sqldeveloper.exe를 통해 설치를 진행하는데 설치가 완료되어도 시작 메뉴나 바탕화면에 따로 실행 아이콘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이 파일을 통해 sqldeveloper를 실행해야 한다. 때문에 압축을 해제한 파일은 따로 폴더를 만들어 보관하고 sqldeveloper 파일은 바로가기를 만들거나 시작메뉴에 직접 추가해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sqldeveloper.exe를 실행시키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현재 JDK가 설치된 디렉터리의 경로를 삽입해주면 된다. 현재 환경이 32bit 아키텍쳐라면 "C:\Program Files(x86)\Java"아래에 있을 것이고 64bit 아키텍쳐라면 "C:\Program Files\Java"아래에 있을 것이다. 두 곳 모두 뒤져봤는데 Java 폴더가 없다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설치할 때 기본 경로를 사용하지 않고 본인이 임의의 경로를 잡아서 다른 곳에 설치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경로를 입력했다면 OK 버튼을 눌러 설치를 진행한다.

 

 

 

 설치 도중 중간에 환경 설정을 임포트하겠냐는 창이 뜨는데 아니오를 눌러 무시해주면 바로 SQL Developer 화면이 출력된다. SQL Developer를 사용할 준비가 끝났다.

 

 

 

 2. SQL Developer 접속 테스트 및 사용자 계정 생성

 초기 화면에서 "XE"를 클릭하면 위와같은 화면이 나온다. 사용자 이름에는 "system"을, 비밀번호에는 오라클 DBMS를 설치할 때 입력한 비밀번호를 입력해준다.

 

 

 

 제대로 로그인이 되었다면 XE1이라는 이름으로 워크시트가 하나 켜졌을 것이다. 이대로 사용해도 상관없지만 사용자 계정을 하나 만들어서 사용해보자. 워크시트는 무시하고 좌측 메뉴에서 "다른 사용자"에 우클릭하여 "사용자 생성"을 선택한다.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원하는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를 입력해도 되지만 마땅히 떠오르지 않는다면 사용자 명에 "SCOTT", 비밀번호에 "tiger"를 추천한다. scott은 오라클 주식회사의 초대 프로그래머 Bruce Scott에서, tiger는 그가 기르던 고양이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전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오라클을 공부할 때 scott/tiger로 계정을 사용한다.

 

 

 여기서 사용자 이름은 대문자로 입력해야 오류가 나지 않는다. 이후 로그인할 때에는 소문자로 입력해도 문제없다. 사용자 명과 비밀번호를 결정했다면 기본 테이블 스페이스와 임시 테이블 스페이스를 선택한다. 테이블 스페이스는 테이블의 정보가 저장될 공간을 뜻한다.

 

 

 [버전이 11g가 아닐 경우] 현재 사용중인 DBMS가 11g라면 상관없지만 12c부터는 사용자 이름을 생성할 때 앞에 "C##"을 붙여야하는 규칙이 있다. 예를 들어 "scott"이라는 사용자를 생성한다고 하면 "C##SCOTT"으로 생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상단 탭에서 [부여된 롤]으로 들어오면 해당 사용자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DBA의 권한을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적용을 누르면 성공적으로 사용자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좌측 상단 메뉴에서 + 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출력된다. name,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만 입력해주면 되는데 여기서 name은 좌측 접속 목록에 표시될 이름이니 별칭을 부여해도 된다. 그리고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에 방금 생성한 계정의 이름,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접속을 눌러 바로 접속해도 되고 테스트를 눌러서 접속 테스트를 시도해봐도 된다. 테스트를 눌러서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면 좌측 하단에 "성공"이라는 문구가 출력될 것이다.

 

 

 (Name 항목의 용도를 보여주기 위해 미리 생성 후 다시 접속 창을 열었기 때문에 스크린 샷에는 scott이 존재하는 것이고 원래는 없다.)

 

 

 

 3. SQL Developer로 SQL 사용해보기

 이제부터 타이핑하는 모든 명령문은 워크시트에 작성한다. 위처럼 명령문을 작성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명령문을 작성한 뒤 모두 한 번에 실행시키거나 특정 명령문만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모든 명령문을 실행시키는 경우 단축키 F5를 통해 수행할 수 있고 특정 명령문만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 해당 명령문에 키보드 커서를 옮긴 뒤 단축키 Ctrl + enter로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모든 명령문이 끝나는 지점에 세미콜론을 표시해 줘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워크시트 내에 명령문이 단 하나만 존재할 경우 세미콜론을 붙여주지 않아도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지만 명령문이 2개 이상 존재할 때 명령문 끝에 세미콜론이 없다면 빨간줄이 그이게 된다.

 

 

 하단 영역을 보면 스크립트 출력 탭과 질의 결과 탭이 있다. 스크립트 출력은 명령어의 수행 결과가 출력된다. 명령어를 수행함에 있어 오류가 있을 경우 에러 코드와 함께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기 때문에 에러를 마주해도 구글링을 통해 에러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질의 결과 탭은 "SELECT"로 질의한 결과를 테이블 형태로 출력해서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사진처럼 워크시트의 각 라인에 행 번호를 붙여줄 수 있다. 이클립스나 비쥬얼 스튜디오를 사용해봤다면 라인 넘버가 있는 것이 에러 확인에 있어 편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워크시트의 코드 영역에서 왼쪽의 빈 공간을 우클릭하여 "행 번호 토글"이라는 옵션을 클릭하면 라인마다 행 번호가 붙는다.

 

 

 이제 간단한 명령문을 통해 사용법을 보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속성으로 가지는 users 테이블을 생성한다. CREATE 문을 구성한 후 단축키 Ctrl + Enter로 명령문을 수행한다. 명령어가 수행되면 아래 스크립트 출력창에 테이블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다는 메시지를 볼 수 있다.

 

 

 

 users 테이블에 id가 "user1"이고 pw가 "123456"인 데이터를 추가해보자. 위에서 말했듯 세미콜론만 잘 붙여준다면 이전에 입력한 CREATE문을 지우지 않은 채로 워크시트에 다음 명령문을 적을 수 있다. 단축키를 통해 명령문을 수행하면 스크립트 출력창에 행이 삽입되었다는 메시지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삽입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해보자. "SELECT * FROM users"는 users 테이블에 있는 모든 행을 읽어온다는 의미이다. 위에서 insert문을 통해 데이터를 삽입했기 때문에 users 테이블에 1개의 행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CREATE나 INSERT를 수행할 때에는 "스크립트 출력"창에 결과가 출력되었지만 데이터 질의를 수행했을 때에는 "질의 결과"창에 결과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 오라클'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이클립스와 오라클 연동하기  (0) 2022.01.21
[Oracle] Oracle 11g 설치하기  (0) 2022.01.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