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캣을 설치한 직후 자주 볼 수 있는 에러 메세지다. Tomcat은 기본적으로 8080포트를 가지는데 이미 해당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가 있기 때문에 다른 포트로 변경하라는 의미이다. 톰캣의 포트 번호를 변경해주면 간단히 해결되는 문제다.

 

 

 사용중인 포트 확인

 현재 8080포트의 사용 여부는 netstat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로 8080이 사용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싶다면 tasklist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netstat에서 얻은 pid를 검색하면 pid가 3372인 task는 "TNSLSNR.EXE"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id를 알아냈다면 작업관리자의 서비스 탭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정렬 기준을 pid로 잡고 3372를 찾아보면 "OracleXETNSListener"라는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프로세스는 이름에서 확인할 수 있듯 오라클로서 오라클 DBMS는 설치할 때 기본적으로 8080포트를 가지기 때문에 톰캣과 포트가 겹쳐버린 상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포트 번호 변경

 다른 포트로 변경하기 위해 먼저 find 명령어로 사용하려는 포트가 사용중인지 확인한다. 위에서 8080을 검색한 결과와 달리 아무것도 뜨지 않는다면 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포트라는 뜻이다. 

 

 

 변경할 포트를 정했다면 이클립스의 servers 탭에서 추가해놓은 톰캣을 더블클릭한다.

 

 

  HTTP/1.1 항목의 "8080"을 원하는 포트로 바꿔준 뒤 저장(Ctrl+S)한다.

 웹 개발을 시작하려면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 Web Application Server)가 있어야 하는데 대표적으로 아파치에서 제공하는 Tomcat과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제공하는 IIS가 있다. 여기서는 이클립스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Tomcat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1. 아파치 톰캣 다운받기

https://tomcat.apache.org/download-90.cgi

 

Apache Tomcat® - Apache Tomcat 9 Software Downloads

Welcome to the Apache Tomcat® 9.x software download page. This page provides download links for obtaining the latest version of Tomcat 9.0.x software, as well as links to the archives of older releases. Unsure which version you need? Specification version

tomcat.apache.org

 

 톰캣을 다운받기 위해서 아파치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위 링크는 9.0으로 연결되는데 9.0 외에 다른 버전을 받아야 한다면 좌측 Download 카테고리에서 원하는 버전을 선택한다.

 

 

 위 링크로 들어오면 다운로드할 수 있는 목록을 볼 수 있는데 현재 컴퓨터 환경에 맞는 것을 선택한다. 필자는 64bit 아키텍쳐이기 때문에 "64-bit Windows zip"를 선택했다.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푼다. 다운로드 폴더나 바탕화면 같이 아무 곳에나 저장하기 보다는 C드라이브에 전용 폴더를 만들고 모아 놓는 것이 관리하기 좋다. 필자는 C 드라이브에  devTools 폴더를 생성해 압축을 풀었다.

 

 

 이클립스에서 톰캣에 대한 설정을 하는데 기존 콘솔 창이 있던 하단을 보면 Servers 탭이 있다. 여기서 "No servers are..."을 클릭한다.

 

 

 만약 servers 탭이 없다면 [Windows → Show View → Servers]를 눌러 Servers 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서버를 생성하려면 서버 타입을 선택해야 하는데 우리는 위에서 Tomcat 9를 다운받았기 때문에 Apache 폴더를 펼쳐 "Tomcat v9.0 Server"를 선택한다. 서버 타입을 선택하면 Next가 활성화 되니 눌러주자.

 

 

 Tomcat installation directory에 아까 알집을 풀어준 경로를 ctrl+c, v 해준다. "Browse.."를 눌러 찾아도 상관없다. 마지막으로 finish를 눌러 서버 생성을 마친다.

 

 

 서버 생성을 마치면 하단 Servers 탭에 서버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프로젝트 목록에 Servers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Recent posts